Luminescent lmage Analyzer(Image quant LAS4000) - ※사용불가
  • 작성일 2022.03.02
  • 작성자 공동기기실
  • 조회수 282

 

기기분류광학/전자영상장비
▷이미지분석장비
▷시험관내화학형광이미지분석기
기기명Luminescent Image Analyzer (발광 이미지 분석기)
모델명Image quant LAS4000
제조회사(주)비앤비
구입년도2011.02
사용료(내부사용자)2,000원/10분
사용료(외부사용자)4,000원/20분

 

시설 장비 설명본 장비는 Chemiluminescence, Chemifluorescence, Digtize의 영상을 분석을 하는 장비로서, 특히 Gel 이나 Membrane Sample 및 기타 생명과학영상(Bio-image, Whole body image 등)을 High Sensitivity, High Resolution 영상으로 직접 얻을 수 있는 장비임. 모든 Image Data 가 컴퓨터에 직접적으로 Digital 화 되어 있기 때문에, 정량분석 및 모든 분석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음.
1) 정량 분석이 가능한 디지털 이미징 시스템. 젤, 블럿, 콜로니 형태의 시료에 적용 가능.
2) 광원 소스와 광학 필터의 조합으로 실험자의 다양한 니드에 맞게 활용할 수 있음. 광원 소스와 광학 필터는 수초 이내에 편리하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자동화.
3) 조리개를 최대 개방할 수 있는 렌즈와 특수하게 고안된 CCD 이미지 센서칩은 선명한 이미지 기록을 가능.
4) 다이나믹 레인지가 매우 넓어서 아주 약하고 흐린 이미지로부터 진하고 강한 이미지가 한 시료에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도 약한 시그널 부근의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강한 시그널 부근의 데이터가 포화되어 정확한 정량이 불가능해 지는 현상을 방지.
5) 고해상도의 CCD 칩을 사용하여 공간적으로 매우 근접한 이미지도 정밀하게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정확한 정량이 가능.
6) 웨스턴블러팅의 경우, 40피코그램 (1조 분의 1 그램) 의 단백질까지 검출, 정량 분석이 가능할 정도의 고감도 시스템.
7) 노이즈 최소화를 위해 카메라를 영하 30도까지 냉각시킬 수 있음. 특히 약한 시그널을 분석할 때 매우 중요한 특징임.
8) 최적의 이미지 분석을 위해 다양한 이미지 보정 기능을 탑재.
구성 및 성능1) CCD 모델 : FujifilmTM Super CCD Area Type chip (15.6 x 23.4mm)
2) 렌즈 모델 : FUJION Lens F0,85 43mm
3) 센서칩 냉각 방식 : 이단계 열전기-공조 방식
4) 센서칩 냉각 가능 범위 : 영하 30℃ 까지 ( 28℃ 이하의 사용 환경에서)
5) 다이내믹 레인지 : 16비트, 10의 4승 범위
6) 칩 해상도 : 2048 x 1472 픽셀, 3.2 메가 픽셀
7) 이미지 해상도 : 최대 3072 x 2048 픽셀, 6.3 메가 픽셀
8) 픽셀 크기 : 약 11㎛ (백만 분의 1 미터)
9) 초점 조절 : 자동, 리모트 컨트롤
10) 이미지 캡춰 방식 :자동 또는 수동
11) 노출 시간 조정 : 자동 또는 수동
12) 픽셀 보정 : 다크 프레임, 플랫 프레임, 디스토션 보정
13) 이미지 품질 보정 : 비닝, 스무딩
14) 비닝 모드 : 1 x 1, 2 x 2, 4 x 4, 8 x 8
15) 이미지 크기 : 최대 12MB (.GEL and .TIF)
16) 분석 가능 시료 크기 : 21 x 14cm (25 x 25cm with SIGMA wide view lens)
17) 인터페이스 : USB 2.0
18) 크기 (W x H x D) : 510 x 900 x 480 mm
19) 무게 : 60 kg
20) 전류 주파수 : 50 to 60 Hz
21) 사용 가능 주변 온도 : 15℃ to 28℃
22) 습도 : 30% to 70% (no condensation)
23) 전압 : 100
사용/활용 예- Western blot 및 전기 영동 결과 분석.
- 고감도 resolution.
- 분자 바이러스 전용 실험실에 장착.
- 분자바이러스학, 항바이러스 효능 측정, 분자세포생물학.

비고

 ※ 부품 단종으로 인한 수리 불가능 판정 -> 사용불가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